SAS비주얼애널리틱스
-
SAS 비주얼 애널리틱스로 사용자 정의 폴리곤 구축 및 시각화하기SAS 이야기/SAS 관련 뉴스 2018. 2. 26. 17:36
데이터 시각화 툴을 이용해 건물 지도, 층 설계, 기타 Esri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해야 한다면? 여기를 주목해주세요! 최근 ‘SAS 비주얼 애널리틱스 8.2(SAS Visual Analytics 8.2)’에 추가된 사용자 정의 폴리곤(polygon) 기능으로 여러 유형의 지역 오버레이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고서에 층 또는 건물 지도를 포함시킬 때 많이 사용되는데요. 오늘은 SAS 비주얼 애널리틱스로 실제 폴리곤을 등록하고, Esri 데스크톱 툴을 이용해 경계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준비 일반적으로 층, 건물 이외의 다른 형태는 폴리곤으로 표시되고, Esri 셰이프 파일 형식으로 배포됩니다. 이미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폴리곤 데이터 가져오기 섹션..
-
데이터 분석, 푸에르토리코 허리케인 재해 복구에 힘을 싣다SAS 이야기/Data for Good 2017. 12. 1. 13:22
100년만의 최악의 허리케인, 푸에르토리코를 덮치다지난 9월 20일, 북대서양과 카리브해 사이에 있는 미국 자치령 푸에르토리코(Puerto Rico)에 초강력 허리케인 마리아(Maria)가 상륙했습니다. 마리아는 시속 185마일(295㎞) 이상의 최고 단계인 5등급 허리케인으로 100년만의 최악의 피해를 남겼습니다. 더욱이 일명 괴물 허리케인이라고 불린 5등급 허리케인 어마(Irma)에 이어 단 2주만에 불어 닥친 재해로 340만 주민들은 엄청난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그 여파로 푸에르토리코의 전체 전력망이 파괴됐고 통신망 또한 심하게 손상됐습니다. 푸에르토리코 주민들은 실질적인 통신 수단 없이 어둠 속에 갇히게 됐으며, 두 달이 넘은 현재까지도 그 혼란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국의 정치•경제 분석 기관 ..
-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노벨상 수상자’ 관련 흥미로운 인사이트!SAS 이야기/SAS 관련 뉴스 2017. 11. 17. 18:02
노벨상의 유래매년 10월 초, 전 세계의 이목이 스웨덴과 노르웨이로 쏠립니다. 바로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시상식 '노벨상(The Nobel Prize)'이 열리기 때문인데요. 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 거대 재벌이 된 스웨덴 화학자 알프레드 노벨(Alfred Nobel)의 유언에 따라 그가 남긴 재산으로 노벨 재단을 설립하며 시작됐습니다. 최초의 노벨상은 1901년 물리학, 화학, 생리학 및 의학, 세계 평화, 문학의 5개 부문이었으나, 1968년 스웨덴중앙은행인 스베리어릭스 은행(Sveriges Riksbank)이 알프레드 노벨을 기리기 위해 경제학 부문을 추가 제정했습니다. 경제학상은 다른 노벨상과 동일한 원칙에 따라 운영되며 상금 액수도 같지만 정식 명칭은 ‘노벨상’이 포함되지 않은 '알프레..
-
빅데이터, 태양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분석 이야기/비즈니스 분석 2017. 11. 13. 17:13
그래비티(2013), 인터스텔라(2014), 마션(2015), 컨택트(2016), 패신저스(2017)까지, 여러분은 이중 몇 편의 영화를 보았나요? 최근 우주에 대한 공상과학(SF) 영화가 한해도 빼놓지 않고 박스 오피스를 기록해왔습니다. 컴퓨터 그래픽(CG) 기술 발전의 공이 크겠지만, 1969년 아폴로 11호의 인류 최초 달 착륙을 시작으로 혁신을 거듭해온 항공•우주 과학 기술 역시 큰 영향을 미쳤을 텐데요. 과학 기술의 진보와 함께 인류는 우주에 대한 본능적인 궁금증을 과학적 상상력과 우주 탐사라는 새로운 도전으로 승화시켰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지구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태양계의 비밀을 밝힐 수 있도록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분석 기술의 진보,..
-
분석 스토리텔링,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설득의 기술분석 이야기/비즈니스 분석 2017. 10. 26. 18:26
‘호모 나랜스(Homo Narrans)’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이야기하는 사람’을 뜻하는 라틴어로 1999년 미국의 영문학자 존 닐(John Niels)이 동일 제목의 저서를 통해 처음 소개했습니다. 그는 인간은 태생적으로 이야기하려는 본능을 가지며, 이야기를 주고받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고, 이야기를 통해 사회를 이해한다고 설명했는데요. 이야기는 기억에 남으며, 사람과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행동을 고취시킵니다. ‘이야기하다’라는 뜻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지속적이며 영향력 있는 예술의 한 갈래로 자리잡았죠. 특히 오늘날 소셜 미디어(SNS)와 각종 신생 미디어의 발전은 새로운 호모 나랜스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누구나 작가이자 독자가 될 수 있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서 스토리텔..
-
kt wiz, ‘고객 경험 분석’으로 승리의 마법을 걸다! The Magic of VictorySAS 이야기/SAS 관련 뉴스 2017. 6. 13. 17:44
지난 3월 31일 막을 올린 ‘2017 KBO 프로야구 정규시즌’이 어느새 중반부를 넘어섰습니다. 개막 두 달 만인 5월 30일 최소 경기 수 기준 역대 다섯 번째로 누적 관중 300만명을 넘어서며 식지 않는 인기를 과시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수많은 관중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그라운드 위 선수들의 치열한 경기 외에도 야구장 곳곳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팬심을 얻기 위한 프로야구 구단들의 스포츠 마케팅 캠페인입니다! 특히 이번 프로야구 정규시즌은 국내 프로 스포츠 사상 최초로 800만 관중을 넘긴 지난해(833만9577명)보다 5.4% 높은 878만6248명 관중을 목표로 하고 있어 그 귀추가 더 주목되는데요. 오늘은 그 중에서도 첨단 ICT 기술과 SAS의 빅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