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데이터과학자
-
데이터 마이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시각적 분석’의 핵심 매력!SAS 이야기/SAS 관련 뉴스 2018. 9. 17. 14:32
최근 독일에서 개최된 SAS 포럼에서는 데이터 과학 및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핸즈온(hands-on) 세션과 워크숍이 진행됐습니다. 이전 포럼에서는 볼 수 없었던 몇 가지 분석 동향의 큰 변화가 있었는데요. 주요 시사점을 소개합니다. 분석의 대중화 올해 워크숍의 티켓은 일찍부터 매진이었습니다. 그 자체만으로도 기분 좋은 소식이지만, 사실 더 중요한 사실을 암시하는데요. 이는 참석자 모두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아니었다는 것과도 연결됩니다. 이전 포럼과는 달리 여러 비즈니스 사용자들이 참석했는데요. 분석이 전문가들을 위한 기술에서 기업 전체의 모든 사용자들을 위한 솔루션으로 자리잡았음을 시사합니다. 또 분석을 활용하지만 그것이 비즈니스에서의 주된 역할은 아닌 ‘시민 데이터 과학자(Citizen Data S..
-
시민 데이터 과학자, 셀프서비스 분석으로 스펙트럼을 넓히다!SAS 이야기/SAS 관련 뉴스 2018. 4. 17. 17:32
올 초 미국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citizen scientist) 1만여명이 새로운 지구형 행성계 ‘K2-138’을 발견했다고 발표하며 천문학계를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대표적인 시민 과학자 플랫폼 ‘주니버스(Zooniverse)’에서 집단 지성을 모아 이뤄낸 첫 번째 쾌거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 크루즈(UCSC) 연구팀은 시민 과학자도 쉽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특수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시민 과학자들은 나사의 케플러(Kepler) 우주 망원경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고 분류함으로써 기존 외계행성의 신호와 다른 패턴을 찾아내고 새로운 행성계를 발견했습니다. 이 발견은 시민 과학자의 놀라운 가능성을 입증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역시 우주 연구에 관심..